메뉴 바로가기 검색 및 카테고리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빛출판네트워크

한빛랩스 - 지식에 가능성을 머지하다 / 강의 콘텐츠 무료로 수강하시고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IT/모바일

임베디드 개발자로 가는 길

한빛미디어

|

2005-06-03

|

by HANBIT

33,226

저자: 박철
출처: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 "04년 1월호

2000년대는 포스트 PC, 즉 임베디드 시스템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사양이 32비트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본 기사에서는 임베디드 개발자가 되기를 원하는 독자들을 위하여 임베디드 분야와 다른 분야의 차이점이 무엇이며, 임베디드 개발 자체가 무엇인가와 임베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은 잘하는 데 하드웨어를 잘 몰라도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가 될 수 있을까? 전자공학을 전공했는데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잘할 수 있을까? 필자 또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처음 시작할 때 같은 심정이었다. 필자는 학부 밑 대학원에서 전자통신을 전공하였다. 그리고 학부 때 배운 컴퓨터 언어는 포트란이 전부였다. 그것도 컴퓨터 없이 칠판수업을 받았다. OS와 32비트 프로세서를 접하기 시작한 것도 나이 30이 넘어서였으며, 프로그램 언어도 8비트 마이콤용 어셈블리 정도만 사용하는 수준이었다. 상상이 가는가?

필자는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프로젝트를 다년간 수행하였으며, 현재 임베디드 리눅스 교육을 짧게는 5일 길게는 6개월 과정을 주관하며 가르치고 있다. 이 글은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베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범위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PC환경 개발과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 개발과의 차이를 다룰 것이며, 임베디드 시스템이 무엇인가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밥솥이라는 가전제품을 예로 들어 설명함으로써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말하고자 한다.

PC와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개발의 차이

두 시스템에서 개발 환경의 차이는 SW개발 환경의 차이와 SW개발 범위의 차이 등 있다.




[그림 1] PC와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


PC SW 개발 환경과 임베디드 시스템 SW 개발 환경의 차이

현재까지 대부분의 SW 개발자들은 PC상에서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림1>과 같이 기존의 SW 개발과정은 소스 코딩을 하고 컴파일하고 실행하는 형태가 모두 PC 환경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은 소스 코딩을 하고 컴파일을 수행한 후 이를 타겟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된 실행 코드를 타겟에서 실행한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가장 먼저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이 개발환경이 다르다는 것이다.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대상이 PC가 아닌 타겟보드라는 것이다. PC SW 개발은 별도의 보드가 필요 없이 PC상에서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드가 없이도 개발이 진행된다. 그러나 임베디드 시스템의 SW 개발은 타겟보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개발보드가 없이는 임베디드 환경에서 SW 개발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는 SW 개발자라 할지라도 타겟보드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타겟보드의 CPU 구조의 이해와 어셈블러, 개발보드의 주변장치의 이해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순수 SW만을 하던 개발자들이 겪는 어려움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SW 개발환경은 임베디드 환경으로 급속히 변해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개발환경의 이해 없이는 개발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격을 수 있다. 이렇게 임베디드 시스템 SW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개발환경을 이해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PC를 사용하듯이 능숙히 조작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PC SW 개발 범위와 임베디드 시스템 SW 개발 범위의 차이

PC상에서의 SW 작업은 커널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이미 준비된 상태에서 애플이케이션 작업만을 수행하는 것 이었다. 물론 HW도 사양이 거의 비슷한 형태로 제공이 된다. PC상에서의 SW 작업과는 다르게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사용되는 CPU가 다르고, 이를 위한 개발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직접 커널을 포팅하여야 한다는 것이 PC상에서의 SW 작업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도 해당하는 시스템에 맞게 제작하여야 한다. 그 이후에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임베디드 시스템은 우리 생활에서 쓰이는 각종 전자기기, 가전제품, 제어장치 등을 말한다. 이러한 장비의 특징은 단순히 전기, 전자회로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시스템을 구동하여 그 장비가 해야 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시스템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은 산업, 가전, 사무, 군사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적용 사례도 핸드폰, PDA, 사이버 아파트의 홈 관리 시스템,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교통관리 시스템, 주차 관리시스템, 홈 관리 시스템, 엘리베이터 시스템, 현금지급기(ATM), 항공 관제 시스템, 우주선 제어 장치, 군사용 제어 장치 등 다양한 곳에 응용이 된다.




[그림 2] 임베디드 시스템의 구성


임베디드 시스템을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생활가전 제품인 밥솥을 예제로 들어서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은 밥솥의 발전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1) 전기 회로로만 구성된 전기밥솥(초기)
(2) 간단한 4비트 또는 8비트 마이콤이 내장된 전자밥솥(현재)
(3) 일반 PC 같은 기능을 가진 32비트 급 프로세서가 내장된 전자밥솥(미래)

(1)은 단순히 히터라는 전기회로를 통해서 열을 가하여 밥을 짓는 장치이다. (1)은 사람이 모든 제어를 수행하며,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이라 할 수 없다. (2)와 (3)은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이라 말할 수 있다. 이렇듯이 임베디드 시스템은 CPU가 내장되어 있어서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2)와 같은 경우는 사람이 하던 제어기능을 4비트 또는 8비트의 마이콤이 펌웨어를 통해서 수행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펌웨어란 OS없이 동작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4비트 8비트 마이콤에서 사용된다. 즉 프로세스가 하나라는 의미이다. (3)은 밥을 하는 고유기능 이외에 외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서 밥을 짓는 정보를 영상이나 음성 정보를 통해서 전달받으며 이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GUI 환경을 제공해 주는 하는 기능이 추가된 시스템을 말한다.

<그림2>와 같이 (3)의 시스템의 구성은 32비트를 사용하며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FW를 사용할 수 없고, OS 환경 하에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통신 기능을 구현하여야 하기 때문에 TCP/IP와 같은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어야 하며, 그래픽 LCD 기반의 GUI 환경이 기본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규모의 차이가 (2)와는 매우 크다. 마치 PC 하나가 밥솥에 들어가 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3)과 같이 임베디드 시스템은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트랜드의 변화가 오기 시작하였다. (2)와 같이 마이콤에 FW 기반의 고유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기존의 임베디드 시스템이었다면 (3)은 고유기능 이외 부가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가 기능은 많은 정보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단순한 8비트의 구조를 가지고 사용할 수 없으며, 32비트 프로세서 기반은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수요는 날로 커져가고 있다.

현재 임베디드 시스템의 특징은 PC가 가지고 있는 기능이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포스트 PC라고도 하고, 가전에 정보전달 기능이 강화된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를 정보가전이라고도 표현하고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과정

임베디드 개발과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임베디드 시스템 HW 개발과정
(2) 임베디드 시스템 크로스 개발환경 구축과정
(3) 임베디드 시스템 SW 개발과정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과정을 위의 “(3) 일반 PC 같은 기능을 가진 32비트 급 프로세서가 내장된 전자밥솥”의 기능을 가지는 전자 밥솥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개발의 순서는 먼저 밭솥의 기능을 정하고 그에 맞는 HW와 SW기능을 협의 한 후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개략적으로 HW의 주요기능을 담당하는 32비트 CPU는 XScale 기반 PXA255로 디자인하고, 운영체제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1. 임베디드 시스템 HW 개발과정

다음의 <그림3>은 밥솥의 HW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CPU는 ARM 기반의 인텔에서 제공하는 PXA 255를 사용하였으며 메모리는 SDRAM 32Mbyte, 플래시 16Mbyte를 사용하였으며 밥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Heater Logic이 있으며 외부에 TCP/IP 기반을 통신하기 위해서 이더넷 컨트롤러를 달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3.5인치 TFT LCD를 달았고, touch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Sound logic을 통하여 음향 및 음성 정보를 사용자에 전달할 수 있도록 HW를 설계하였다.

여기서 사용되는 PXA 255는 400MHz의 속도를 가진 고성능 CPU이다. 이는 몇 년 전의 PC의 CPU 속도에 같은 수준의 CPU인 것이다. 그리고 메모리 또한 PC의 메모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용량이다. 일반 PC는 파일시스템을 HDD에 구현하지만 여기서는 플래쉬 메모리에 구축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림 3] 임베디드 시스템 하드웨어 구조


2. 임베디드 시스템 크로스 개발환경 구축과정

HW 제작이 끝나면 크로스 개발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크로스 개발 환경이란 호스트에 타겟 디바이스용 리눅스를 개발하기 위한 모든 환경을 말한다. 그리고 부트 로더를 컴파일하여 이를 플래시 메모리에 코드를 넣어야 한다. 그 다음의 수행과정이 부트로더를 수정하여 원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환경은 크게 3개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컴파일 환경인 XScale용 cross tool chain
(2) 부트 로더를 플래시에 올리기 위한 JTAG fusing 시스템
(3) 부트 로더 제작

개발환경의 설명에 앞서 용어를 정리하고 설명하기로 하자 <그림 1>의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나오는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타겟(Target Device)
  개발하고자 하는 embedded 시스템 보드, 여기서는 전자 밭솥의 HW이며, 사양은 <그림3>과 같다.

* 호스트(Host system)
  타겟을 개발하기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Cross compiler, monitor, Debugger 등을 제공 일반적으로 PC가 호스트가 된다.

* Backend
  호스트와 타겟이 통신을 하기 위한 매개체, <그림1>에서와 같이 Serial은 통신 에물레이터를 통해서 타겟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Parallel은 JTAG을 통해서 flash에 fusing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Ethernet은 zImage, root filesystem image를 host에서 target으로 downloading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 Target Terminal
  타겟의 상황을 호스트에 표시해 주는 프로그램 즉 통신 에뮬레이터를 말한다.



2-1. 컴파일 환경인 XScale용 cross tool chain

먼저 해당 CPU에 맞는 tool chain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Tool chain이란 타겟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host system의 cross compile 환경을 말한다. Tool-chain은 각종 소스들을 컴파일하고 빌드하여 실행 바이너리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각종 유틸리티 및 라이브러리의 모음이다. 기본적으로 어셈블리, 링커, C 컴파일러, C 라이브러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GNU에서 제공하는 Tool-chain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다.

- GNU GCC compilers for C, C++
- GNU binary utilities (assembler, linker various object file utilities)
- GNU C library

XScale에 사용하기 위한 ARM tool chain은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binutils-arm-2.11.2 : 유틸리티
- gcc-arm-2.95.3 : 컴파일러
- glic-arm-2.2.3 : 라이브러리

2-2. 부트 로더를 플래시에 올리기 위한 JTAG fusing 시스템

일반적으로 JTAG(Joint Test Access Group)이란 말보다 Boundary-Scan이란 말이 더 많이 사용된다. 그럼 Boundary-Scan이라는 ‘주변을 훑어본다’라고 할 수 있다. 먼저 Boundary-Scan의 역사를 살펴보자.

◆ 1980년대 후반의 JTAG라는 곳에서 연구 중이던 Boundary-scan 설계를 IEEE에서 1990년에 표준화하였고 IEEE std 1149.1가 제정되었다.




[그림 4] JTAG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fusing


[그림4]과 같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타겟 보드에 있는 strata 플래시에 부트로더를 쓰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은 구성이 필요하다. 먼저 호스트 시스템의 구성부터 살펴보면 호스트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jflash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jflash는 패러렐 포트를 이용하여 타겟 보드에서 필요로 하는 JTAG 신호를 생성한다. 호스트 시스템에서 생성된 JTAG 신호는 패러렐 케이블을 통해 dongle에 전달된다. dongle은 TTL 74HCT541을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이 기능은 단지 호스트 시스템의 패러렐 포트에서 발생한 5V 전압을 PXA255에 적합한 3.3V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dongle을 통해서 전달된 JTAG 신호 중 TMS와 TCLK는 TAP에 전달되어 JTAG의 state 머신을 결정하고, TDO와 TDI는 JTAG의 명령의 생태에 따라 bypass register, boundary scan cell, ID register 등의 입력과 출력 부분에 연결된다. PXA255의 JTAG을 통해서 flash 메모리가 필요로 하는 bus timing을 발생하여 플래시에 전달한다.

호스트 시스템의 셸(shell)에서 jflash blob을 입력하면 x-boot250의 바이너리 코드가 플래시 메모리의 0번지부터 fusing을 한다. 메모리에 쓰기 전에 기본적으로 쓰고자 하는 0번 블럭을 지우고, blob을 fusing한 후, 에러 없이 fusing이 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검증한 후에 이상이 없으면 x-boot250이 정상적으로 로딩을 완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리얼 통신 환경의 설정에 이상이 없다면 정상적으로 x-boot250이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2-3. 부트 로더 제작




[그림 5] LILO와 X-boot250과 비교


[그리5]와 같이 일반적으로 부트로더라 하면 일반 x86 리눅스에서는 LILO를 많이 사용할 것이다. LILO란 Linux Loader로써 도스나 윈도우 NT, 리눅스 등 다른 OS를 선택적으로 부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LILO는 하드디스크의 MBR에서 동작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OS가 실행할 수 있도록 점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럼 우리가 사용하는 x-boot250이란 부트로더는 플레시 0블럭에서 실행되고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먼저 커널이나 ramdisk 등의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SDRAM 영역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SDRAM에 있는 데이터를 플래시 영역으로 writing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널이 이미 올라가 있다면 부팅할 수 있는 기능도 같이 제공한다. 부트로더의 기능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 Boot Loader 기능

(1) 하드웨어의 초기화 : 부트로더에서 제일 먼저 실행, cpu speed, 메모리, 인터럽트, UART 등을 초기화 해준다.
(2) Linux Booting : 부트로더상에서 리눅스를 부팅하는 기능이 있다.
(3) Kernel or ramdisk download : 부트로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커널이나 ramdisk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기능이 있다. 호스트상에서 컴파일된 이미지를 시리얼이나 tftp를 이용해 이더넷을 통해 다운로딩이 SDRAM상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4) 다운로드한 커널 및 Ramdisk를 플래시에 write
다운로드한 커널과 ramdisk 이미지는 SDRAM상에 있기 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다운로드한 이미지는 날아가 버린다. 그러므로 플래시 기능을 통하여 SDRAM상의 커널과 ramdisk를 지정된 플래시 주소 영역에 writing하는 기능이다.
(5) tftp를 통한 SDRAM에 다운로드
시리얼을 통해 커널 등을 다운로드하기에는 너무 속도가 느리다. 그러나 tftp를 이용한 이더넷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고속으로 커널이나 ramdisk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3. 임베디드 시스템 SW 개발과정

HW가 제작이 되고 개발환경이 구축이 되면, 다음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그림6]과 같이 SW개발과정이다.

(1) OS 포팅(입베디드 리눅스 포팅)
(2)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
(3) TCP/IP등 미들웨어 제작
(4) GUI등 애플리케이션 제작




[그림 6]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구조


3-1. OS 포팅(임베디드 리눅스 포팅)

타겟 보드에 부트로더가 올라가 있으면 이제는 커널을 이식하는 순서이다. 현재 전자 밥솥에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포팅을 한다. 포팅에 필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7] 밥솥용 임베디드 리눅스 소스 개발과정


우선 리눅스의 정식 버전을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현재 포팅하려고 하는 리눅스 정식 버전은 2.4.18이다. 여기에 ARM 패치를 인가한다. 그리고 PXA255용 패치를 인가한다. 이두가지 패치는 일반적으로 공개가 되어 있다. 나머지 밥솥용 패치는 개발자가 개발을 하여 패치 처리를 해야한다. 여기에는 밭솥용 타겟보드의 특성에 맞는 리눅스 초기화 코드와 HW에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사 추가된다. 이렇게 해서 개발된 리눅스 커널은 밥솥을 위한 전용 커널이 된다.

3-2.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운영체제는 장치 드라이버를 필요로 한다. 임베디드 리눅스는 드바이스 드라이버를 캐릭터, 블록,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구분한다.
[그림3] 임베디드 시스템 HW 구조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분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캐릭터 디바이스 드라이버 : 히터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 사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 LCD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 터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

*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 : 여기서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파일시스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밭솥용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파일 시스템을 플래시에 구현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필요한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플래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이를 흔히 MTD(Memoty technology device)라고 하며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 : TCP/IP를 제어를 받는 이더넷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한다.

3-3. TCP/IP등 미들웨어 제작

앞으로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통신 기본으로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은 다른 기기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면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3-4. GUI등 애플리케이션 제작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개지로 볼 수 있다.

(1) 기본 기능 : 밥솥의 본 기능
(2) 부가 기능 1 : TCP/IP를 이용한 통신 기능
(3) 부가 기능 2 : LCD를 이용한 GUI 기능

이 시스템의 가장 기본 기능은 밥솥의 기능이다. 이를 하나의 프로세스에 할당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그리고 TCP/IP를 통해서 각종 네트워크 기능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GUI 기능을 제공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대부분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서 텍스트, 그래픽 및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내장형 시스템 GUI 기술들(타이니 X, 피코구이, Qt, microwindow)이 적용되어 텍스트, 그래픽, 영상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결론

앞서 살펴봤던 것과 같이 우리가 이제껏 알고 있던 그리고 흔히 접해왔던 일반적인 컴퓨터 기반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과는 달리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엔 그 개발 환경 구축에서부터 개발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상이한 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이를 접하는 개발자들은 다소 혼란스럽고 적응에 실패하기도 한다.

그러나, 임베디드 시스템 역시 CPU(프로세서)와 메모리로 되어 있는 (어느 특정 목적을 위해 개발된) 조그만 컴퓨터라 생각하고 개발에 임한다면 그리 어렵지만은 않을거라고 필자는 확신한다.

즉,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려면 다음의 기본적인 기술 요소들만 확실하게 닦아 놓는다면 나름대로 쉽게 적응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

처음 컴퓨터 전원 버튼을 누른 순간 컴퓨터 보드 안에 이미 내장되어 있던 BIOS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부팅 순서를 결정하고 부팅가능한 운영체제가 선택됨과 동시에 해당 운영체제가 부팅하기 시작한다.

부팅이 끝난 운영체제 상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는 순간 운영체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상주시킨 뒤 이를 실행시키게 되며 이때 만약 USB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를 제어하게 된다.

임베디드 시스템 역시 이와 마찬가지다. 전원이 들어감과 동시에 이미 내장되어 있던 부트 로더가 실행되고, 이후 해당 Embedded Linux나 Windows CE 같은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동작 원리에 대해 개발자는 이들이 실행되는 구조를 그려가며 반드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 하드웨어 개발

필자의 생각에 이는 모든 개발자들에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라고 본다. 자신의 전공 분야에 따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분야가 다르니 만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하드웨어 개발 방법에 관해 사실 몰라도 된다고 본다.

그러나,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을 몰라도 된다는 얘기가 하드웨어를 몰라도 된다는 얘기는 아니다. 아무리 컴퓨터 상에서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해당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Spec.)을 모른다면 어찌 원하는 성능을 얻을 수 있겠는가?

이런 관점에서 보면 어떤 개발자라도 하드웨어에 대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겠지만 임베디드 개발자의 경우엔 소프트웨어 전문 개발자들보다 조금 더 깊이 알아둘 필요가 있다. 그래야, 개발자가 원하는 대로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을테니까.

■ 프로그래밍 언어

이는 사실 언급할 필요도 없는 사항일지 모른다. 전쟁에 참여하는 군인이 총을 놓고 간다면 어찌 되겠는가? 그러나, 필자가 겪어 본 바에 따르면 총을 놓고 가는 군인들이 더러 눈에 보여 굳이 언급을 하고자 한다.

요즘에 가끔 TV를 보면 정말 화려한 가수나 연예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는 눈에 보이는 것만을 쫒고 있는 요즘 세태가 반영되어 그런 듯 싶어 그리 썩 반갑지가 않다. 이는 개발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요즘에 보면 Java니 PHP니 ASP니 해서 바로 바로 결과가 눈에 보이는 언어들이 많이 나오고 또 이에 대한 책들도 많이 나오며 이에 영향을 받아 이들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흔하게 눈에 띈다. 그러나, 이들 중 C 언어부터 차근차근 밟아 나가는 사람들은 그리 흔하지 않은 건 왜일까?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는 하나는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언어들은 공부에 대한 결과가 바로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중도에 포기하는 개발자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것 같은데 이는 영어를 공부하는 것으로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에는 왕도가 없다지 않은가? 그저 묵묵히 최선을 다해 습득하는 것 그 길 뿐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역시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조급해하지 말고 묵묵히 습득하다보면 어느새 늘어있는 자신의 실력에 놀랄 때가 반드시 있을 것이다.

■ 노하우(Know-How)

개발자들에게 가장 큰 재산이라면 바로 자신들의 경험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아닐까 싶다. 노하우가 어느 정도 축적되느냐에 따라 개발 속도나 일정, 개발자의 경력 등 개발자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 이러한 노하우는 어찌 얻어지는가?

말 그대로 다양한 경험 이외에 방법은 없다. 어느 하나의 분야에만 딱딱하게 굳어있지 말고 열린 마음으로 여러 다양한 분야에 도전해 보라. 두드리는 자에게 열린다는 문이 그대에게도 열릴 것이다.


임베디드에 거는 기대감과 희망

본고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32 비트 CPU 기반 임베디드 하드웨어 시스템,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계층구조를 가지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살펴보았다.

무어의 법칙에서 말해주듯 하드웨어 사양들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보다 더 빠른 속도로 소프트웨어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다양한 분야가 생겨나고 또 사라져 가고 있다.

이런 광속의 시대를 살면서 과연 우리의 개발자들은 어디에 서야할 것인가에 대해 필자와 같이 오랜 기간 개발자의 길을 걸어온 사람들은 누구나 고민하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과연 이 땅의 개발자들은 어디로 가야하는가?

필자는 임베디드라는 분야에 우리가 서야할 길이 있다고 확신하고 있으며 이를 다양한 개발 경험과 강의 현장에서 몸소 느끼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인식이 많이 되어 있지 않기에 어찌하면 이 분야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지 본 원고에서 부족한 문장으로나마 정리해 보았다.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임베디드는 확실히 우리가 이제껏 접해왔던 컴퓨터 환경과는 사뭇 그 운용 방법이나 개발 방법 등 모든 면에 대해 다르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우리가 이제까지 등한시 여겼던 기본적인 내용들을 다시금 돌아보고 숙지한다면 결국 개발이라는 방법 자체가 아닌 개발 과정의 흐름은 동일하다는 사실을 이해하리라 생각한다.

CPU, 프로그래밍 언어, 컴파일러와 같은 기본 개발 분야에 있어서 이미 선진 유럽과 미국을 우리가 뛰어 넘기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이제 막 꽃을 피우기 시작한 임베디드라면 한 가닥 기대해봐도 좋을 희망이 있지 않을까?

뛰어난 임베디드 개발자들이 무수히 쏟아져 나오길 마음 속으로 간절히 기도하며 글을 맺어 볼까 한다.



참고문헌

[1] Embedded World 2003, 1 vol. 1
[2] 임채덕 등, 임베디드 소프 트웨어 기술동향 및 산 업발전 전망, 정보통신연구진흥 제 4권 제 3 호, 정보통신연구진흥원 , http://iita6.iita.re.kr:8888/korean/journal/13/focus_01.htm, 2002. 9.
[3] 2002 Embedded Software Tools Worldwide Forecast, Gartner Dataquest Market Statistics 110850, 2002. 10.
[4] Worldwide Embedded Software Tools Outlook, 2002, Gartner Dataquest Alert, 2002, 10.
[5] Worldwide Embedded Operating Environments Forecast, 2003-2007, IDC #29308, 2003, 5.
[6] The Embedded Software Strategic Market Intelligence Program 2002/2003, Volume II, VDC, 2003. 3.
[7] Embedded Software Developers Maintain the Status Quo, Gartner, 2003. 5.
[8] 2001 Worldwide Embedded Software Tools Market Share, Gartner Dataquest Market Statistics, SWTA-WW-MS-0113, 2002. 7.
[9] 이것이 성장엔진이다 임베디드 S/W, 전자신문 2003. 3. 11.
TAG :
댓글 입력
자료실

최근 본 상품0